우토로를 다녀온 뒤 국회의원모임은 우토로를 공론화하여 정부의 대책수립과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끌어내는 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일임을 확인하고 해당 상임위와 본회의에서의 대정부질의, 5분 발언 등을 통해서 우토로에 대한 정부의 대책 수립을 요구하고 국회에서 각계 각층이 참여하는 토론회, 해방60주년을 맞이하여 방송사와 함께 우토로를 소재로 한 특집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일, 국민성금을 모금하는 일 등을 고민하였고 우토로 주민들을 초대하여 우토로의 절박함을 국민들에게 호소하는 일, 국무총리, 외무부장관 면담 국회의원들의 모금 참여와 공공기관의 모금참여 요청 및 대기업들의 모금참여를 위한 수백통의 서신을 발송하는 등 할 수 있는 일은 가리지 않고 실행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여러 곳에서 반응이 나타났고 반기문 외교부장관의 대정부 질문 답변에서 우토로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다하겠다는 확약을 받아낼 수 있었고 외무부 직원들은 단체성금을 모아 우토로 주민들의 아픔을 함께 나누기도 하였다.
나는 우토로의 문제가 한ㆍ일 양국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함께 존재하는 문제로 본다. 우토로의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해결하느냐에 따라 한국과 일본은 가까운 이웃으로 남을 수도 있고 가깝지만 먼 이웃으로 남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우토로 문제는 해방 후 재외동포에 대한 한국정부의 책임과 미국과 일본의 책임, 한일협정에서의 외면과 방치, 그리고 재일조선인 차별정책과 우지시의 우토로 주민들에 대한 최소한의 삶의 요구에 대한 외면, 60년을 거주해 온 우토로 주민들을 제외한 토지 소유권 분쟁 등 다층적인 문제가 얽혀있다. 복합적으로 문제가 얽혀있음에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는 우토로 주민들의 거주권문제이며 우토로 주민들의 거주권의 확보는 생존에 관한 문제이기도 하다.